저장 장치/용량에 따른 가이드
비트레이트란
비트레이트는 1초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하며, 이 비트레이트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대역폭과 저장용량을 계산 할 수 있습니다.
비트레이트 값이 높을 수록 화질이 좋아지지만 그만큼 전송하는 양이 많아집니다.
비트레이트는 bps(bits per second)로 표기합니다.
Kbps
1,000bps
Mbps
1,000kbps
Gbps
1,000mbps
보통 FHD 2M 급 카메라의 비트레이트는 2~4Mbps 를 사용하며 대부분 2개 이상의 스트림을 지원합니다.(멀티스트림)
메인스트림은 고해상도, 고비트레이트를 써서 녹화를 하는 스트림으로 사용됩니다.
서브스트림은 저해상도, 저비트레이트를 써서 주로 분할화면이나 네트워크 스트림용으로 사용됩니다.
NVR에서는 메인스트림과 서브스트림을 동시에 수신하여 녹화, 라이브표출, 네트워크 스트림 전송을 모두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중에서 녹화용으로 사용하는 스트림의 비트레이트를 가지고 저장용량을 계산 할 수 있습니다.
저장기간을 고려한 용량 계산 방법
녹화스트림의 비트레이트에 따라 저장 용량이 결정되므로 공식을 통해 용량을 예상 할 수 있습니다.
비트레이트는 초당 수신하는 용량이며, 수신하는 비트레이트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실제 데이터 용량과는 차이가 발생합니다.
엠스톤 홈페이지에 디스크 용량 계산기를 참고해 보세요
채널기준
엠스톤 NVR 제품은 4CH부터 128CH 까지 지원하며 기준 채널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UB2
●
●
●
●
2UB8
●
●
●
●
●
3UB16
●
●
●
4UB24
●
●
●
HDD Bay 기준
HDD 장착 가능 Bay 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7월 30일 기준 인식 가능한 HDD 용량은 24TB 입니다.
1UB2
2개
48TB
2UB8
8개
192TB
3UB16
16개
384TB
4UB24
24개
576TB
알맞는 제품 선정
저장할 용량 계산이 완료되었다면 사용할 HDD 의 용량을 결정하고 필요한 개수를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64개를 30일동안 녹화하려면 79.11TB 로 계산되는데, 15% 정도 여유를 두어 91TB 로 예상 용량을 정하게 되면 아래 표처럼 디스크 용량과 개수를 정할 수 있습니다.
10TB
10개
100TB
12TB
8개
96TB
16TB
6개
96TB
20TB
5개
100TB
24TB
4개
96TB
HDD 개수에 따라 제품을 선택해야 하므로 위 기준에서는 64CH 2UB8 제품으로 12TB 이상 HDD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DAS Storage 를 이용한 방법

NVR에 HDD BAY 가 부족한 경우 DAS Storage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U 급 이상)
DAS Storage는 Raid, Non Raid 방식 중 결정하여 사용해야 하며 NVR당 2대 까지 연결 가능합니다.
채널수에 비해 녹화 해야 하는 데이터가 많은 경우 사용합니다.
NVR과 DAS는 DAS 전용 DAC(Direct Attach Cable)케이블로 직접 연결되며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NVR에 연결되어 사용되어 집니다.
SAN Storage를 이용한 방법

SAN Storage 는 스토리지 자체에 서버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디스크 관리, 볼륨 설정 등을 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NVR(VMS)과 SAN Storage는 HBA(Host Bus Adapter) 어뎁터를 통하여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구조입니다.
DAS가 NVR에 2개까지 직접 연결되어야 하는 구조와는 달리, SAN Storage는 SAN Switch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스토리지를 여러개의 NVR(VMS)과 구성할 수 있습니다.
SAN Storage는 Non RAID 방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SAN Storage 전용 HDD 디스크가 사용되므로 예비 디스크 까지 장착하고 디스크 문제가 발생 했을 경우 자동 복구 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중요 합니다.
위에서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부분과 SAN Switch를 설명하였는데, 네트워크로 사용되는 Switch 와 다르며 SAN 구성은 SAN 끼리만 연결 할 수 있습니다.

SAN Storage는 내부에 가진 볼륨을 어느 장비로 할당 할 것인지 정할 수 있는데, 이를 구분하는 것이 WWN(World Wide Name) 입니다.
WWN은 스토리지 환경에서 IP 주소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WWN을 통해 서버와 스토리지 장비가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버가 특정 스토리지 장비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WWN을 사용하여 해당 장비를 정확하게 찾아갑니다.
HBA카드에는 FC(Fibre Channel) 포트가 있는데, 각 포트마다 고유한 WWN 이 있으며 스토리지에서 볼륨을 특정 WWN 으로 할당하게 되면 볼륨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SAN 구성에서 사용되는 광지빅 모듈은 SAN 전용 8Gbps 또는 16Gbps 지빅을 사용해야 하며 광케이블은 OM3 이상 멀티모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엠스톤에서 판매중인 VMS와 EM-SAN12B, EM-SAN84B SAN Storage는 San Switch 없이 1:1 다이렉트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RAID 란?
여러개의 HDD 디스크를 묶어서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RAID는 0~6 등, 여러가지 방식이 존재하나 RAID5, RAID6 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RAID5는 최소3개 이상의 디스크로 구성되며 디스크 중 1개의 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데이터는 문제가 없습니다.
RAID6는 최소4개 이상의 디스크로 구성되며 디스크 중 2개의 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데이터는 문제가 없습니다.
RAID5의 디스크 용량은 (N-1), RAID6의 디스크 용량은 (N-2)로 계산합니다.
10TB 디스크 4개로 RAID5 와 RAID6를 구성할 경우 아래와 같습니다.
10TB 4EA
40TB
30TB
20TB
비고
디스크 보호 없음
1개 디스크 보호
2개 디스크 보호
RAID5, 6는 각 볼륨에서 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경우 문제가 되는 디스크를 교체하면 볼륨에 문제가 없으나 보호 디스크 수 이상 문제가 생길 경우 RAID 특성에 따라 볼륨에 문제가 생기면서 데이터를 쓸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RAID를 구성하여 사용할 경우 볼륨에 문제가 생기면 해당 볼륨의 데이터를 모두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므로 현장 상황에 따라 Non RAID, RAID를 선택하여야 하며 RAID 볼륨은 1개의 볼륨 당 디스크가 10개가 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NVR에 디스크 볼륨이 1개인 경우 해당 볼륨에 문제가 생기면 더이상 녹화 할 수 없으므로 볼륨을 여러개 생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Non RAID 구성인 경우 문제가 생긴 디스크의 자료만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볼륨의 여유공간과 디스크 종류
여유공간이 디스크 성능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용량의 15%~20%의 여유공간을 가지는 것을 권장합니다.

현재 출하되는 NVR/VMS의 디스크 사용량 제한 기본값은 95% 이며, 64CH 이상 동시 녹화의 경우 엔터프라이즈 등급의 HDD 디스크 사용을 권장합니다.
NVR은 디스크에 지속적인 쓰기를 하며 항상 녹화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빠른 쓰기/읽기도 중요하지만 안정적인 성능도 요구됩니다.
NVR에 사용하는 HDD 디스크는 서베일런스, 엔터프라이즈 급 HDD를 사용하시기 바라며, 특히 RAID 구성일 경우에는 엔터프라이즈 급 HDD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SAN Storage 의 경우 되도록 디스크 사용량 제한을 90% 이하로 맞추는 것을 권장합니다.
Last updated